반응형

안녕하세요. 세계를 탐험하는 궤변론자입니다.

오늘은 저같이 '아,오늘은 어떤 글 쓰지??' 를 고민하는

블로그를 시작한지 얼마 안된 초기 블로거들이 쉽게 주제를 설정할 수 있도록 '블랙키위' 와 '바드' 사이트를 이용해 자동으로 크롤링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아주 쉽고 한번 세팅해놓으면 매일 자동으로 검색어, 경쟁률 기반으로 긁어오니 놓치지 마세요


목차

  1. '블랙키위' ,'바드' 란?
  2. 바드 학습시키기
  3. 키워드 추출하기
  4. 데이터 기반으로 제목과 메타태그 요청하기.

  1. '블랙키위' , '바드' 란??

시작하기에 앞서 블랙키위와 바드가 무엇인지, 어떻게 쓰는지 모를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설명하고 넘어가겠습니다.

1) 블랙키위란 : 검색 엔진 마케팅에 필요한 다양한 도구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키워드 분석, 키워드 추천, 영향력 순위 등 검색 엔진 마케팅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와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2) 바드란 : 구글 AI에서 개발한 대규모 언어 모델입니다. 텍스트와 코드의 방대한 데이터 세트로 훈련되어 다양한 종류의 창의적인 콘텐츠를 생성하고, 유익한 방식으로 질문에 답변할 수 있습니다.

쉽게 얘기해서 블랙키위는 네이버 기반으로 SEO를 목적으로 한 검색량과 경쟁률을 확인하기 위한 마케팅 도구이고,

바드 는 블랙키위에서 얻어온 정보들을 쉽게 자동화해서 가져오기 위한 CHAT GPT의 역할을 합니다. 다만 GPT는 현재 과거의 자료 기준으로만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데일리 기준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바드를 사용합니다.

2. 바드 학습시키기

바드로 데일리 키워드를 크롤링하려면 먼저 바드를 학습시켜야 합니다. 바드를 학습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칩니다.

1) 바드에게 검색 결과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2) 바드가 제공한 정보를 바탕으로 키워드 추출 규칙을 설정합니다.

3) 바드에게 키워드 추출 규칙을 학습시킵니다.

아래의 순서를 따라 진행해주세요.

1. 저는 우선 바드의 '블랙키위' 인지를 위해 사이트에 대해 교육을 시켜줄겁니다.

2. 교육이 완료되면 명령어를 기준으로 상세 명령을 내리고, 단축명령어를 설정합니다.

3. 키워드 추출하기

위의 2번에서의 학습을 끝냈으면, 이제 본격적으로 키워드 추출을 시작합니다.

4. 데이터 기반으로 제목과 메타태그 요청하기.

이제 이중에 원하는 키워드를 선택하고, 이를 활용하여 블로그 글을 작성시 제목과 태그를 요청합니다.

저는 '게임' 카테고리에 관련한 '리니지' 키워드를 작성해보겠습니다.

친절하게 작성에 도움되는 팁도 알려주네요.

이것으로 오늘의 키워드 추천을 마무리 하겠습니다.

이 키워드들을 이용해 자동으로 블로그 글을 작성하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 내용을 확인해보세요.

https://sophistlab.tistory.com/16#comment15051841

 

네이버 블로그, 바드, 데일리 키워드, 크롤링, 검색 엔진 마케팅

바드, 키워드, 크롤링, 검색 엔진 마케팅, SEO

데일리 키워드, 크롤링, 검색 엔진 마케팅, SEO

반응형
반응형

목차

1. 주제선정

2. 목차설정

3. 정보수집

4. 정보수합

5. 머신러닝

 


 

1. 주제선정

SEO를 기준으로 주제선정에서부터 GPT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예를들어 '대출정보' 관련해서 블로그 쓰기 좋은 키워드들을 추천해줘 라고 검색하여 키워드를 추출해내어 어떤 글을 쓸지를 정하거나, '검색량 기준으로 블로그 작성에 좋은 키워드 추천해줘' 등의 내용으로 주제를 선정 할 수 있다.

오늘은 예시로 대출 상환 기간에 대한 내용을 GPT로 작성해보겠다.

2. 목차설정

글을 쓰는데에 목차는 독자로 하여금 내비게이션의 역할을 해준다.

보통 본인이 원하는 글의 목차가 있는 경우가 있지만, 어떻게 쓸지조차 막막하다면 이조차 GPT에게 맡기자!

3. 정보수집

이제 각 목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차례이다.

어려울것 없다.

 

하나씩 다 물어보면 된다.

 

예를들어 위 사진의 2번에 해당하는 단기VS장기 대출의 경우

각각 세부항목으로 나온 내용에 대해 자세히 물으면 된다.

아래 사진은 시각적으로 편히 이해하고자 표로 작성을 요청한 내용들이다.

 

4. 정보 수합

각 목차에 대한 내용들을 GPT를 통해 끌어왔으니 이젠 내용들을 정리해서 콘텐츠로 만들 차례이다.

이것도 어려운가?? GPT한테 시켜라

이제 큰 뼈대는 완성되었고, 이에 따른 상세 내용들은 3.정보수집 을 통해 질문했던 내용의 답변들을 붙이면 된다. 

 

5. 머신러닝

gpt의 꽃이라고 부를 수도 있는 머신러닝이다.

챗봇 GPT는 오픈AI에서 개발한 자연어 처리를 위한 딥러닝 모델 중 하나입니다. GPT는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의 약자로, 주로 텍스트 생성 작업을 위해 사용됩니다. 이 모델은 트랜스포머(Transformer)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며, 미리 훈련된 모델을 기반으로 다양한 자연어 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GPT는 대규모의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사전 훈련된 후, 새로운 작업에 적용될 때 추가적인 작업이나 파인 튜닝을 통해 특정한 작업에 맞게 조정됩니다. 이 모델은 문장 생성, 기계 번역, 질의응답, 요약, 감정 분석 등 다양한 자연어 처리 작업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GPT는 강력한 문맥을 이해하고 다양한 주제에 대해 지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인간 수준의 자연어 이해와 생성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GPT는 대화형 인터페이스, 컨텐츠 생성, 문서 자동 요약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머신러닝을 쉽게 얘기하면 알아서 기억해서 공부하고 학습해서 발전시키는 gpt의 행동이다.

그렇다면, 머신러닝은 어떻게 쓰면 될까??

 

이것조차 매우 쉽다.

시키면 된다

 

지금까지 얘기한 내용들 머신러닝 기준으로 학습해서 앞으로 글 쓸때 참고해줘

라고 말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글의 제목과 메타태그도 요청하자

'이 글에 적합한 제목과 메타태그 3개씩 추천해주고, 추천할떄 seo기준으로 추천해줘'

라고 말해보자!

반응형
반응형

글 작성에 앞서, 이 글은 매우 초기단계입니다.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그럴듯한 글이 나올때까지 계속 할 예정입니다.

 

 

1. 우선 chat gpt에 접속한다.
https://chat.openai.com/

 

2. 상황을 설정하고 (가능하면 영어로) 해당 내용을 프로그램 언어로 변환한다.
영어 번역이 어려운 경우에는 https://www.deepl.com/translator 사이트를 이용하시죠.

 

3. 상황 설정에 대한 예시
제가 설정한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i want to write about "how to write post with Chat Gpt"
'나는 chat gpt로 글 쓰는 방법'에 대해 글을 쓰고 싶어.

Let's say you're in the top 1% of bloggers who make money from blogging.
너가 상위 1프로에 해당하는 블로그이고 그 블로그로 돈을 번다고 가정해보자.

You're a really good storyteller.
너는 엄청 글을 잘 쓰는 사람이고

And you're the world's foremost authority on AI technology and chat gpt.
너는 전세계적으로 ai기술과 chat gpt에 저명한 사람이야.

and please follow this additional acquires.
그럼, 이제 아래의 요구사항들을 맞추서 작성해줘

1. Optimize for SEO.
seo를 최적화해줘

2. Do not repeat title
제목을 반복하지 말아줘

3. You should have a meta description of 150 characters or less at the beginning of your post

글 시작 부분에 150자 이하의 메타 설명을 적어줘

 

4. 그리고 이 요청에 대한 완성본입니다.
(한글로 번역하고 싶으시면 translate it into korean 이라고 치시면 됩니다.)



# 블로거에게 가르치기: ChatGPT 3.5를 사용하여 블로그 글 쓰는 방법
메타 설명: ChatGPT 3.5 및 AI 기술을 활용하여 매력적인 블로그 글 작성 과정을 알아보세요.

## ChatGPT 3.5의 기본 원리 이해하기
ChatGPT 3.5의 기본 기능과 능력을 파헤쳐 효과적인 블로그 글 작성 방법을 알아보세요.

## AI 도움을 통한 매혹적인 이야기 구성하기
ChatGPT 3.5가 어떻게 여러분의 이야기 스킬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노력 없이 매혹적인 내러티브를 만드는 방법을 탐구해 보세요.

## 진화 심리학을 블로그 콘텐츠에 통합하기
독자의 이해를 더 깊고 매혹적으로 만들기 위해 블로그 글에 진화 심리학 개념을 통합하는 방법을 배워보세요.

### 예시:
1. 진화 심리학 원리를 활용하여 데이트 상황에서 인간 행동을 설명합니다.
2. ChatGPT 3.5를 사용하여 독자와 개인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매혹적인 이야기를 전합니다.
3. 복잡한 심리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 AI가 생성한 통찰력을 통합하여 블로그 콘텐츠의 깊이를 향상시킵니다.

## 향상된 가시성을 위한 SEO 전략 최적화하기
ChatGPT 3.5로 작성된 블로그 글의 도달과 가시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효과적인 SEO 기술을 알아보세요.

 

마지막으로 이 글의 태그를 요청하세요

 


5. 느낀점

 

굉장히 간단한 프롬프트(명령어) 기준으로 구성했는데 생각보다 양질의 컨텐츠가 나왔습니다.

좌측 사이드에 보시면 해당 글을 기준으로 언어를 계속 학습하고 업데이트 될 수 있으니 이 글을 기준으로 계속 gpt를 교육시켜 그럴듯한 블로그가 작성되도록 시도해보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자바스크립트는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말하자면 외국어와 외계어의 중간급정도 되는 난이도를 가진 체계인것이다.

웹 페이지의 동적인 기능을 구현하는 데 사용되지만 문외한이 이해하기 너무 여럽기에 최대한 쉽게 기본 기초강좌에 대해 풀어서 설명해보려 한다.

나도 자바를 아예 모르지만 혼자 bard로 찾아보며 공부해보려고 작성한다.


목차
1. 기본개념

2. 기본문법

3. 느낀점

 

 

1. 자바스크립트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세요.

자바스크립트는 변수, 함수, 조건문, 반복문 등과 같은 기본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본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면 자바스크립트를 제대로 사용할 수 없다.

자바스크립트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자바스크립트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는 책이나 강의.
  • 자바스크립트의 기본 개념을 연습할 수 있는 사이트를 이용.

아래는 bard를 통해 가져온 기본개념의 추가설명이다.

자바스크립트의 기본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변수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변수는 이름, 데이터 타입, 초기값으로 구성됩니다.

JavaScript
var myName = "Bard";
코드를 사용할 때는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content_copy

위의 코드에서 myName은 변수의 이름이고, "Bard"는 변수의 데이터 타입과 초기값입니다.

  • 함수

함수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의 집합입니다. 함수는 이름, 매개변수, 코드 블록으로 구성됩니다.

JavaScript
function sayHello() {
  console.log("안녕하세요!");
}

sayHello();
코드를 사용할 때는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content_copy

위의 코드에서 sayHello()는 함수의 이름이고, ()는 함수의 매개변수입니다. console.log()는 콘솔에 메시지를 출력하는 함수입니다.

  • 조건문

조건문은 특정 조건에 따라 코드를 실행하거나 실행하지 않도록 하는 명령문입니다. 조건문은 if, else, else if로 구성됩니다.

JavaScript
var age = 20;

if (age >= 19) {
  console.log("성인입니다.");
} else {
  console.log("미성년자입니다.");
}
코드를 사용할 때는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content_copy

위의 코드에서 if 조건문은 age가 19 이상이면 "성인입니다."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미성년자입니다."를 출력합니다.

  • 반복문

반복문은 특정 코드를 반복해서 실행하는 명령문입니다. 반복문은 for, while, do-while로 구성됩니다.

JavaScript
for (var i = 0; i < 10; i++) {
  console.log(i);
}
코드를 사용할 때는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content_copy

위의 코드에서 for 반복문은 i가 0부터 9까지 1씩 증가하면서 console.log() 함수를 실행합니다.

자바스크립트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면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더 쉽게 이해하고 작성할 수 있습니다.

 

 

 

2. 자바스크립트의 기본 문법을 익히세요.

자바스크립트의 기본 개념을 이해했다면, 이제 기본 문법을 익혀야 합니다. 자바스크립트의 기본 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변수 선언
  • 함수 선언
  • 조건문
  • 반복문
  • 객체
  • 배열

각 기본문법에 대한 예시를 마찬가지로 bard에서 가져와보겠다.

1. 변수 선언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변수는 이름, 데이터 타입, 초기값으로 구성됩니다.

예시

JavaScript
// 변수 선언
var myName = "Bard";

// 데이터 타입
var age = 20;

// 초기값
var isMarried = false;
코드를 사용할 때는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content_copy

2. 함수 선언

함수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의 집합입니다. 함수는 이름, 매개변수, 코드 블록으로 구성됩니다.

예시

JavaScript
// 함수 선언
function sayHello() {
  console.log("안녕하세요!");
}

// 함수 호출
sayHello();
코드를 사용할 때는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content_copy

3. 조건문

조건문은 특정 조건에 따라 코드를 실행하거나 실행하지 않도록 하는 명령문입니다. 조건문은 if, else, else if로 구성됩니다.

예시

JavaScript
// 조건문
var age = 20;

if (age >= 19) {
  console.log("성인입니다.");
} else {
  console.log("미성년자입니다.");
}
코드를 사용할 때는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content_copy

4. 반복문

반복문은 특정 코드를 반복해서 실행하는 명령문입니다. 반복문은 for, while, do-while로 구성됩니다.

예시

JavaScript
// for 반복문
for (var i = 0; i < 10; i++) {
  console.log(i);
}
코드를 사용할 때는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content_copy

5. 객체

객체는 데이터와 함수를 하나로 묶은 구조입니다. 객체는 속성과 메서드로 구성됩니다.

예시

JavaScript
// 객체 선언
var person = {
  name: "Bard",
  age: 20,
  sayHello: function() {
    console.log("안녕하세요!");
  },
};

// 객체 속성 접근
console.log(person.name); // Bard

// 객체 메서드 호출
person.sayHello(); // 안녕하세요!
코드를 사용할 때는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content_copy

6. 배열

배열은 같은 타입의 데이터를 여러 개 저장하는 구조입니다. 배열은 인덱스로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습니다.

예시

JavaScript
// 배열 선언
var numbers = [1, 2, 3, 4, 5];

// 배열 인덱스 접근
console.log(numbers[0]); // 1

// 배열 길이
console.log(numbers.length); // 5
코드를 사용할 때는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content_copy

이러한 기본 문법을 이해하면 자바스크립트를 더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느낀점

바드가 생각보다 c언어에 대한 인지와 예시를 굉장히 디테일하게 붙여주고 이해가 쉬운편이다.

다만 대부분의 대답이 프롬프트에 절대적으로 기댈뿐, 자체적으로 인간의기준에서 사고하기엔 어렵기에

1) 정확한 프롬프트값을 입력하는 방식이나

2) 이미 프리셋처럼 검증이 된 프롬프트값을 다양하게 가져오는게 이득일듯 하다.

 

다음시간에는 ai 프롬프트값을 기준으로 gpt를 좀더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배워볼 생각이다.

 

 

참고 링크 : https://d2.naver.com/helloworld/7226235

반응형
반응형

전자책이나 논문등의 PDF 전문을 읽을때 어려움을 겪어본 경험이 있으신가요??

 

쉬운 사용이 가능하며, 내용조차 번역체가 아닌 깔끔하게 정리해줍니다.

 

<사용방법>

1) https://www.chatpdf.com/ 에 접속한다

2) 요약이 필요한 PDF 파일을 업로드한다
3) 원하는 질문들을 챗봇에게 하듯 질문한다 (한글 지원 가능)

*10MB를 넘어가는 큰 용량의 파일은 유료버전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목차

1. '블록'이란 무엇인가?

2. '체인'이란 무엇인가?

3. 그래서 '블록체인'은 뭔가

 

요즘 이스라엘 전쟁으로 인해 화폐의 대체품인 암호화폐에 대한 얘기가 다시 활발히 거론되고있다.

 

헌데 얘기를 듣다보면

토큰(token)=코인(coin)=비트코인(bitcoin)=암호화폐(cryptocurrency)=블록체인(blockchain)

기타 여러가지의 단어들이 '비트코인' 이라는 이름과 다 같다고 오해하는 경우들이 종종 있는듯하여,

오늘은 '초등학생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에 대한 설명을 목표로 글을 작성해본다.

 

 

1. '블록'이란 무엇인가?

우선 영어단어 block의 뜻은, 아래 세가지중에 한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1) 벽돌

2) 막다,차단하다

3) 구역,구획

 

이중 블록체인에서의 블록은 3)의 의미를 가진다.

보통 길 안내시  '다음블록에서 우회전' 등의 의미로 구획/구역 을 나타낸다.

블록체인이라는건 결국 이 'block블록'이라는 구역을 을 'chain체인' 으로 엮는다는 의미이다.

 

블록체인에서의 블록은 블 록 체인의 원소역할로, 거래시 일정시간마다 여러건의 거래내역을 하나의 블록으로 나타낸다.

 

블록은 크게 블록헤더와 블록바디 두가지로 나뉘는데

쉽게 설명해서 블록헤더 : 이름 / 블록바디 : 내용 이라고 이해하면 쉽다.

헤더는 보통 구분을 위해 어떤 거래에 대한 블록인지를 나타내고, 바디는 보통 거래정보를 담고있다.

 

2. '체인'이란 무엇인가?

영단어 그대로 해석하자면 '사슬' 이다.

각 블록과 블록을 엮어준다는 의미로, 이전에 생성된 블록과 새롭게 생성된 블록을 체인처럼 계속적으로 연결하는 데이터 구조를 말한다. (증명된 데이터만 연결)

쉬운 예시를 한가지 들어보자.

 

초등학교 1학년 3반에서 수업을 하는데 정전이 났다.

아이들이 무서워하지 않도록 담임선생님은 맨 앞자리 좌측 끝 학생 (1번)부터 맨 끝자리 우측 끝 학생 (30번) 까지 모두 다 손을 잡고 복도로 나오라고 지시한다고 가정했을떄, 

각 학생은 '블록' 의 역할을 하고 학생들이 마주잡은 손은 '체인'의 역할은 한다.

여기서 중요한건 해시값인데, 각 학생들이 마주잡은 왼손과 오른손에 누가 있는지 번호순으로 분별이 가능하니 1번 학생(최초데이터, 이전해시 없음) 과 30번 학생 (최신데이터, 최종 해시값 있으나 마주잡지 않음.) 을 제외하고 앞,뒤의 학생(블록) 이 누구인지 정전상태에서도 확인이 가능한 것이다.

 

 

3. 그래서 '블록체인'은 뭔가

이제 위의 글을 읽은 여러분들은 그래서 블록체인이 뭔지 알겠는데, 이걸 어디다 쓰냐??라는 질문을 할 수 있는 지식단계에 종착했다.

 

블록체인의 활용은 다양한 방식으로 가능하다. 블록체인이라는 기술 위에 어떤 분야를 쌓는지에 따라 형태가 달라질 뿐이다.

*현재 블록체인이 활용되고 있는 분야는 아래와 같다.
1) 금융 
2) 미디어 (게임,음악,영상,사진,sns 등)
3) 멤버십
4) 의료서비스
5) 물류
6) 소셜네트워크
7) 인증

이게 무슨얘기냐고??

블록체인의 특징을 기준으로 각각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될지를 상상해보자.

 

블록체인은 크게 아래의 세가지 특징을 가지게 된다.

1) 분산성 -> DECENTRALIZED / 일부 사용자나 시스템에 대한 오류에 영향 적음 (ex: 은행 새벽 출금금지)
2) 확장성 -> OPEN SOURCE / 누구나 구축,연결,확장 가능
3) 보안성 -> IMMUTAVLE LEDGER / 네트워크 참여자가 공동으로 소유하여 데이터조작 방지 (장부변경금지)

 

이 세가지의 특징으로 '누구나 시간,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구축하여 연결이 가능하며 데이터 조작이 불가능하여 보안걱정이 없고(이론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거래가 가능한 것이다. (금융거래든, 데이터 송수신이든)

 

오늘은 흔히 얘기하는 암호화폐 (cryptocurrency)에서 가장 기본개념으로 얘기되는 블록체인의 개념에 대해 초등학생도 쉽게 알아듣도록 작성해보았다.

다음에는 이를 활용한 실제 사례들을 기준으로 더 다양한 기술들에 대해 최대한 쉽게 설명할 예정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