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목차

1. '블록'이란 무엇인가?

2. '체인'이란 무엇인가?

3. 그래서 '블록체인'은 뭔가

 

요즘 이스라엘 전쟁으로 인해 화폐의 대체품인 암호화폐에 대한 얘기가 다시 활발히 거론되고있다.

 

헌데 얘기를 듣다보면

토큰(token)=코인(coin)=비트코인(bitcoin)=암호화폐(cryptocurrency)=블록체인(blockchain)

기타 여러가지의 단어들이 '비트코인' 이라는 이름과 다 같다고 오해하는 경우들이 종종 있는듯하여,

오늘은 '초등학생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에 대한 설명을 목표로 글을 작성해본다.

 

 

1. '블록'이란 무엇인가?

우선 영어단어 block의 뜻은, 아래 세가지중에 한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1) 벽돌

2) 막다,차단하다

3) 구역,구획

 

이중 블록체인에서의 블록은 3)의 의미를 가진다.

보통 길 안내시  '다음블록에서 우회전' 등의 의미로 구획/구역 을 나타낸다.

블록체인이라는건 결국 이 'block블록'이라는 구역을 을 'chain체인' 으로 엮는다는 의미이다.

 

블록체인에서의 블록은 블 록 체인의 원소역할로, 거래시 일정시간마다 여러건의 거래내역을 하나의 블록으로 나타낸다.

 

블록은 크게 블록헤더와 블록바디 두가지로 나뉘는데

쉽게 설명해서 블록헤더 : 이름 / 블록바디 : 내용 이라고 이해하면 쉽다.

헤더는 보통 구분을 위해 어떤 거래에 대한 블록인지를 나타내고, 바디는 보통 거래정보를 담고있다.

 

2. '체인'이란 무엇인가?

영단어 그대로 해석하자면 '사슬' 이다.

각 블록과 블록을 엮어준다는 의미로, 이전에 생성된 블록과 새롭게 생성된 블록을 체인처럼 계속적으로 연결하는 데이터 구조를 말한다. (증명된 데이터만 연결)

쉬운 예시를 한가지 들어보자.

 

초등학교 1학년 3반에서 수업을 하는데 정전이 났다.

아이들이 무서워하지 않도록 담임선생님은 맨 앞자리 좌측 끝 학생 (1번)부터 맨 끝자리 우측 끝 학생 (30번) 까지 모두 다 손을 잡고 복도로 나오라고 지시한다고 가정했을떄, 

각 학생은 '블록' 의 역할을 하고 학생들이 마주잡은 손은 '체인'의 역할은 한다.

여기서 중요한건 해시값인데, 각 학생들이 마주잡은 왼손과 오른손에 누가 있는지 번호순으로 분별이 가능하니 1번 학생(최초데이터, 이전해시 없음) 과 30번 학생 (최신데이터, 최종 해시값 있으나 마주잡지 않음.) 을 제외하고 앞,뒤의 학생(블록) 이 누구인지 정전상태에서도 확인이 가능한 것이다.

 

 

3. 그래서 '블록체인'은 뭔가

이제 위의 글을 읽은 여러분들은 그래서 블록체인이 뭔지 알겠는데, 이걸 어디다 쓰냐??라는 질문을 할 수 있는 지식단계에 종착했다.

 

블록체인의 활용은 다양한 방식으로 가능하다. 블록체인이라는 기술 위에 어떤 분야를 쌓는지에 따라 형태가 달라질 뿐이다.

*현재 블록체인이 활용되고 있는 분야는 아래와 같다.
1) 금융 
2) 미디어 (게임,음악,영상,사진,sns 등)
3) 멤버십
4) 의료서비스
5) 물류
6) 소셜네트워크
7) 인증

이게 무슨얘기냐고??

블록체인의 특징을 기준으로 각각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될지를 상상해보자.

 

블록체인은 크게 아래의 세가지 특징을 가지게 된다.

1) 분산성 -> DECENTRALIZED / 일부 사용자나 시스템에 대한 오류에 영향 적음 (ex: 은행 새벽 출금금지)
2) 확장성 -> OPEN SOURCE / 누구나 구축,연결,확장 가능
3) 보안성 -> IMMUTAVLE LEDGER / 네트워크 참여자가 공동으로 소유하여 데이터조작 방지 (장부변경금지)

 

이 세가지의 특징으로 '누구나 시간,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구축하여 연결이 가능하며 데이터 조작이 불가능하여 보안걱정이 없고(이론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거래가 가능한 것이다. (금융거래든, 데이터 송수신이든)

 

오늘은 흔히 얘기하는 암호화폐 (cryptocurrency)에서 가장 기본개념으로 얘기되는 블록체인의 개념에 대해 초등학생도 쉽게 알아듣도록 작성해보았다.

다음에는 이를 활용한 실제 사례들을 기준으로 더 다양한 기술들에 대해 최대한 쉽게 설명할 예정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